마중(재두루미) > 연작 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연작 갤러리

. 연작 갤러리는 한 페이지당 작품이 5점 이상이 되기 때문에 게시물을 여는데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 연작 갤러리는 작품 등록시 사진을 5점 이상 등록하셔야만 작품이 등록됩니다.
. 하루에 3회 이하로만 사진등록이 가능합니다. 자정기준으로 다시 등록이 가능해 집니다.
. 익스9/익스10에서 파일첨부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 클릭하세요.
. 한국복제전송저작권협회 미분배공익사업으로 사진저작물DB사업의 결과이며,
 저작자의 요청 및 저작물 보호를 위해 홈페이지에 해당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마중(재두루미)

페이지 정보

본문

철원 대마리 에서 포착됐다.우리가 흔히 DMZ라 부르는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가 분단의 긴장을 완충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철원DMZ 대마리,겨울 철새 재두루미 도착...

우리가 흔히 DMZ라 부르는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가 분단의 긴장을 완충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민간인 통제구역으로서 철저하게 보호, 또는 통제되어 왔던 이곳이 기지개를 켜듯 철새들이 음직이고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천연기념물 제203호로 지정받아 관리되고 있으며 성숙한 개체 수가 약 3,700마리~4,500마리밖에 남지 않은 것으로 계측되고 있어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발표하는 적색목록에는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철원 철새도래지 대마리 주변에 겨울 철새 재두루미가 찾아왔으며 지난해 도래 시기와 비교했을 때 철원 주민은 올해 그보다 약 3주 정도 빨리 날아왔다고 15일 밝혔다.


비무장지대는 50여 년 동안 민간이의 출입이 통제되면서 완벽한 자연생태계로 자리 잡았다. 최근 시행되고 있는 환경부 비무장지대(DMZ) 생태·산림·문화재 합동조사단의 중간 조사결과에 따르면 다양한 멸종위기 종의 서식은 물론, 세계적 보호종인 두루미 40여 개체가 연천평야에서 겨울을 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두루미 도래지인 철원 이외에 비무장지대 안에서 두루미가 먹이를 먹고 쉬며 번식을 할 수 있는 뛰어난 서식지가 분포해 ‘두루미 벨트’를 이루고 있다고 밝혔다.

조사단은 또 연천평야 상류인 안개천에서 천연기념물인 어름치가 발견됐으며, 사람의 영향을 받지 않아 하천 복원의 기준이 될 만한 하천습지 생태계의 원형을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79건 1 페이지

검색


그누보드5

주소: (07995)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서로 225 대한민국 예술인센터 1701호

02) 2655-3131~7(부서별 안내)Fax: 02) 2655-3130E-mail : pask@pask.net / koreapask@daum.net

계좌번호 : 국민은행(031-25-0001-564)지회/지부전용 : 농협(301-0156-2082-01)예금주:(사)한국사진작가협회

Copyright by © 1998-2025 The Photo Artist Society of Korea.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