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음악삽입) > 포토 에세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포토 에세이

. 사진과 함께 글을 같이 적는 곳입니다. 사진만 올리시면 안됩니다.
. 하루에 1회 이하로만 사진등록이 가능합니다. 자정기준으로 다시 등록이 가능해 집니다.
. 익스9/익스10에서 파일첨부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 클릭하세요.
. 한국복제전송저작권협회 미분배공익사업으로 사진저작물DB사업의 결과이며,
 저작자의 요청 및 저작물 보호를 위해 홈페이지에 해당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어머니 (음악삽입)

페이지 정보

본문

 

흐르는 음악은 John Barry 의 John Dunbar Theme
 
당신의 목에거신
십자가목걸이의 무게를
오늘은
제 영혼의 흰 목덜미에
느끼게 하옵소서
-박목월 시 < 어머니에의 기도> 전문-

                                                                                   

   

        

         하루종일 노점 좌판에서 생선을 팔고 해걸음에 집으로 올라온다

         한손엔 고무다라 한손엔 또아리 그리고

         앉았던 그대로 일어서서 황급히 내달아온듯

         한쪽 바지 가랭이는 올라간 그대로다

         삭월세도 제일 싼방을 얻어야 하기때문에 산밑의 맨 뒷집 

         다리 아프고 허기지고 몸은 파뿌리가 되었겠지만 마음는 집안에 다있다 

         하루종일 식은고구마나 한개씩 먹고 제들끼리 놀며 싸우며

         기다리고있을 어린것들.........

         배가 얼마나 고플까

         그런데  빈손이다

         오늘도 장사가 신통치않아 변변히 풀빵 한봉다리도 살수가 없었다

         미어지는 가슴

         그러나 본능적으로 마음은 급하여 몸이 먼저 앞으로 쏠린다

   

         세상에

         어느어머니가 위대하지 않을까만은 우리네 어머니는 정말 하늘만큼 아니

         그보다 더 위대하시다

         폭탄이 퍼붓는 6,25때 우리의 어머니는 당신의 육신으로 우리를 막아주셨고

         보리고개 가난때 어머니는

         우리에겐 쌀죽을 주시고 당신은 부엌에 나가 맹물만 한사발 드리켜셨다

         세상 어느 헌신이 우리네 어머니만치 위대하실 이 또 계실까

         예수님, 부처님이 인류의 구세주라면 어머니는 바로 우리의 구주이시다

         실제로 우리를 잉태하고 낳아서 당신손으로 살리시고 키우시고 가르치신 求主.

         배울수 없어서 무식하고 꾸미지 않아서 볼데는 없지만 그이는

         그 전부가 聖靈스러운

         우리의 어머니시다

         문지방에 걸린 빛 바래고 구겨진 사진한장

         이세상 어디에 이보다 더 위대한 진영이 또 있을까

         밖에 걸려있다면 지금이라도 방안에 모시고 먼지라도 잘 닦아드림이 도리 아니겠는가   

         어머니 -------

         우리모두 눈을감고  그이의 얼굴을 그려보자

         혹시 위의 사진을 그냥 <빈민촌의 가난한사진>으로 가볍게 넘겨버리는 이 있다면 

         그건 잘못이다

         다시한번 들여다보고 잠시라도 어머니의 그 성스러운 像을 그려보자

         곁에 계시거나 아니면 

         아주 멀리 계시거나......

         신이 모든곳에 다 있을수 없어서 우리에게

         어머니를 보냈다 하던가.  


                                                          (사진/1990년 수색 재개발현장에서 촬영/롤라이 35s)                                          

추천2

댓글목록

profile_image

전영복님의 댓글

전영복 쪽지보내기 회원정보/약력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좋은 글 가슴에 와 닫습니다^^ 사진을 한다고 뛰어다니다 암실에서 밤을 새우기도~! 1984년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신 후 어머니를 촬영한 사진이 별로 없다는 것을 알고, 불효를 빌지만 후회만 남습니다. 시집가 잘살고있는 딸아이를 어릴때(1977년) 안고있는 모습을 내가 촬영,현상해 두었던 것을 1984년 공원묘지에 모신 후 암실에서 인화하여 거실에 걸어둔 사진이 조금씩 누렇게 변해감니다. 내게 가장 소중한 사진입니다. 어머니~! 보고싶습니다.

profile_image

김종환`1님의 댓글

김종환`1 쪽지보내기 회원정보/약력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전영복 회원님 자식이 불효라 말하면 불효가 아닙니다 어머님에게 향한 지정이 각별하시네요 반갑습니다 나도 2000년 10월에 98세로 모셨는데 지금도 보고싶을때는 밤에도 묘소(안산 와동)에 갑니다
어머님 영정을 거실에 모시고 보신다니 그가 바로 효행입니다
우리가 부모님 영정만은 금장 액자에 정성껏 모셔야 합니다 그러셨겠지요?
새해에도 사모의 정 돈독하시고 하시는 사업도 번창하시길 바랍니다

profile_image

성훈경님의 댓글

성훈경 쪽지보내기 회원정보/약력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가슴이 뭉클 합니다.
김선생님의 사진과 글 감동 입니다.^^
대단한 효자 이셨군요. 우리난은 고향에 계신 부모님께 전화도 자주 못드리는데...오늘 전화드려야 겠습니다^^

profile_image

김종환`1님의 댓글의 댓글

김종환`1 쪽지보내기 회원정보/약력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자식이 어찌 부모에게 언감생심 효자라는 단어를 쓸수있겠읍니까
불효는 지천이요 효도는 무한인데요
다만 어머니 가실때 일주일간 날밤으로 팔벼개 해 드리고 단명하신뒤 입술에 키스해드린
그게 제가 어머니께 해드린 마지막 재롱이었읍니다
어머니---
어디가서 다시 또 그런 지극한 모정을 대할까요

profile_image

김수군님의 댓글의 댓글

김수군 쪽지보내기 회원정보/약력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위에 모든분이 불효다 효자다하는 단어를 쓰고 게시는데 제가 더욱 강조함은 뼈를깍아
모신다 한들 어머니의 크신 은혜는 죽어서도 다 갚지 못함이 부모자식간의 운명이라고
믿고 싶습니다.

profile_image

김종환`1님의 댓글의 댓글

김종환`1 쪽지보내기 회원정보/약력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옳으신 말씀입니다 선생님

profile_image

장한기님의 댓글

장한기 쪽지보내기 회원정보/약력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뒤늦게 이 작품을 보고 깨달은 바가 있어 몇자 올립니다. 요즘 같이 게시판이 혼미한 상태에서 아름다운 음악과 향수를 자아내게하는 작품을 보여주신 김종환 선생께 감사드립니다. 어머니에 대한 심상적 느낌은 어느자식이라 다를바 있겠습니까 마는, 허무어진 벽돌담 사이로 하루의 책임량을 마무리라도 한듯 빈 고무다랑이를 든체 어둑한 골목길을 황급히 올라가는 어머니의 실루엣 처리된 뒷 모습에서 세월의 고뇌를 느끼게 됩니다. 우리는 자칫 컬러의 화려함에만 현혹되어 흑백의 깊고 진솔한 향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아쉬움에 덧붙혀 올려보는 글입니다. 항상 새로운 창작에 몰두하시는 모습이 보기좋습니다.

profile_image

김종환`1님의 댓글의 댓글

김종환`1 쪽지보내기 회원정보/약력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안녕하세요 이사님
사소한 저의 작품에 과분하신 평을 해 주심에 우선 면구스러우나 감사말씀 드립니다
오래전부터 딴에는 흑백의 깊은맛에 몰두해 왔으나 자꾸 색채풍경으로 치우치는 경향에 외로움을 느낍니다 하지만 분명 모노톤으로 표현할 내용이 따로 있음을 고집하며 살아왔읍니다
간혹 이렇게 공감해주시는 동지를 만날땐 반가움이 한꺼번에 쏟아져 그간의 외로운 피로감이 씻어집니다 이사님 혹 시간 되시면 김수군선생님 <호기심>에 써놓은 저의 소견도 한번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이사님 건강하시고 부천지부 발전을 기원합니다

profile_image

장한기님의 댓글의 댓글

장한기 쪽지보내기 회원정보/약력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옳으신 말씀입니다. 사진가가 촬영 소재를 선택 할 때는 그 대상이 사람이든 사물이든 자연이든 그 대상 자체를 소중히 생각하고 그 내면의 진실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하여야 완성된 작품도 관조자들로부터 공감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profile_image

김종환`1님의 댓글의 댓글

김종환`1 쪽지보내기 회원정보/약력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선생님의 말씀에 힘을 얻습니다
건강하십시오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조태호님의 댓글

조태호 쪽지보내기 회원정보/약력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어머니의 따뜻한 사랑이 느껴지는 선생님의 글속에서 지난시절
어머니를 생각해 봅니다.
진정으로 우리 어머님들은 오직 자식에대한 무한의 사랑과 희생이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 귀감이 되는 글을 읽고
마음이 찡해 짐을 느낍니다.
잊고사는 어마니의 사랑을 알깨워 주시는 마음의 글입니다.

profile_image

김종환`1님의 댓글의 댓글

김종환`1 쪽지보내기 회원정보/약력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감사합니다 조태호 선생님
세상에 효자라는 단어는 있을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효도란 얼마를 해도 모자라니까요 다만 불효라는 단어는 있어야 하고요
언제라도 이 사진을 보면 저자신 눈물이 납니다 이와 아주 흡사하게 저에게 해주시고 가신 어머니-- 못해드린 한이 바위덩어리로 제 머리를 때립니다
지금도 어머니를 모시는 전국의 회원여러분께 감히 한말씀 드립니다 당시에는 그냥 예사로 경과하지만 가시고난 뒤에는 가슴을 아무리 쳐도 어머니는 다시 와주시지 않는다고요

profile_image

임영제님의 댓글

임영제 쪽지보내기 회원정보/약력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다시 보아도  좋은글입니다

Total 16건 1 페이지

검색


그누보드5

주소: (07995)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서로 225 대한민국 예술인센터 1701호

02) 2655-3131~7(부서별 안내)Fax: 02) 2655-3130E-mail : pask@pask.net / koreapask@daum.net

계좌번호 : 국민은행(031-25-0001-564)지회/지부전용 : 농협(301-0156-2082-01)예금주:(사)한국사진작가협회

Copyright by © 1998-2025 The Photo Artist Society of Korea. All right reserved.